바이낸스 스테이킹 런치패드 계산기 및 차트 설정 방법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바이낸스 스테이킹 런치패드
계산기 사용 방법 및 차트 설정 방법까지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스테이킹과 런치패드에 관해서 설명을 해드리고
다음으로 계산기 사용 방법 및 차트 설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먼저 여기서 스테이킹에 관해 짧게 이야기하자면
최근 금리가 오르고 있지만 그래도 기준 금리가 낮아서
은행에 맡기는 게 손해로 느껴지는 시기입니다.
따라서 장기적으로 오른다고 믿으신 분들이라면 더욱 해야 하는 것이 바로 스테이킹입니다.
가상화폐에 종류에 따라 이자율이 다르지만 높은 이자율을 제공하는 코인은
연 10% 이상의 이자율을 제공합니다.
10% 이자율을 제공하는 코인 스테이킹을 하면 7년 만에 코인의 수량이 2배가 되니
코인을 장기적으로 모아나가는 좋은 투자 방법 입니다.
설명하기에 앞서 현재 바이낸스와 공식적인 파트너 제휴를 맺어 수수료 20% 할인을
해주는 레퍼럴 코드가 있으니 가입할 때 레퍼럴 코드란에 J24I6ZG2 기입하시거나
아래 링크를 눌러 들어가 가입을 시작해주시면 되겠습니다
바이낸스 스테이킹 종류
1. 바이낸스 스테이킹 코인이란
2. 바이낸스 디파이 스테이킹이란
바이낸스 스테이킹이란
우선 스테이킹에 대해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먼저 코인의 종류를 알아야 하는데 크게 보면 작업 증명(POW)과 지분 증명(POS)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미리 말씀드리자면 지분 증명을 스테이킹이라고 부릅니다.
작업 증명(POW)은 트랜잭션이 발생 했을 시
해당 트랜잭션이 유효한지, 해당 블록이 진짜인지 가짜인지 하드웨어를 통해 증명하는 방식입니다.
작업 증명 방식은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예를 들어 비트코인과 같이 에너지를 소모하여 연산을 직접 해서 채굴하는 방식 등이 있습니다.
즉, 지분 증명 방식은 POS 방식의 코인을 예치하여 플랫폼의 운명 및 네트워크 활성화 등,
의사결정 등에 투표를 하여 기여를 하면 보상으로 코인을 받는 형식입니다.
여기서 특정 코인을 스마트 컨트렉트에 예치함으로서 소속된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참여자 또는 노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됩니다.
참여자가 많을수록 블록체인의 네트워크는 복잡해지기 때문에 안정성이 증가합니다.

즉, 네트워크의 안정을 위해 스테이킹(Staking)을 하고 투자자는 그의 대가로 이자를 지급 받는 것 입니다.
여기서 이자는 예치한 코인으로 받습니다.
이해하기 쉽게 간단하게 생각하시면 적금 드는 것과 비슷합니다.
하지만 스테이킹 하시기 전에 아셔야 하는 것이 하나 있습니다.
스테이킹을 하여 이자를 받을 수 있지만
스테이킹을 한 코인의 가격이 하락이 되면 손해가 생길 수 있습니다.
바이낸스 디파이 스테이킹이란

바이낸스 디파이 스테이킹이 어떤건지 간략하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
누구나 이러한 디파이 스테이킹 참여할 수 있지만 또 그렇지도 않습니다.
이를 위해서 개인지갑을 만들고 키를 관리하고, 컨트랙트에 자산을
예치하고 이를 확인하는 다소 기술적인 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디파이(De-Fi)는 영문의 Decentralised Finance를 의미합니다.
한국어로는 탈중앙화 금융이라는 뜻이며, 중앙은행 및 상업은행 등의
금융기관을 거치지 않고 사용하는 금융 서비스, 즉 탈중앙화 금융을 의미합니다.
스테이킹(Staking)은 특정 코인을 구매하고 바이낸스에
일정 기간 위탁하면서 그에 대한 이자를 받는 시스템입니다.
크게 Locked Staking과 Defi Staking으로 나눌 수 있는데 Locked Staking은 블록체인 네트워크
운영을 지원하기 위해 암호화폐 지갑에 자금을 보관하는 과정이고,
Defi Staking은 스마트 계약을 통해 사용자에게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입니다.
실질적으로 코인을 맡기는 입장에서는 이자율 이외에는 두 메뉴가 큰 차이가 없기에,
두 상품 모두 이자를 지급하는 것으로 이해하면 충분합니다.
디저축 : 스테이킹은 기간이 없지만 수익률이 낮습니다.
고정 스테이킹 : 스테이킹에는 특정 기간, 더 높은 수익이 있습니다.
장점
코인 홀딩을 통해 이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
코인의 지갑이 있어 직접 스테이킹하는 번거로움이 없습니다.
스테이킹, 노드* 설정 또는 설치에 대한 깊은 지식이 없는 사용자도 참여할 수 있습니다.
* 여기서 노드란, 쉽게 알려드리면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참여자 라는 의미입니다.
바이낸스는 스테이킹은 서비스 수수료를 부과하지 않습니다.
모든 보상은 스테이킹으로 다시 분배됩니다.
따라서 코인의 가격이 오를 경우 코인 오른 금액 + 장기간 이자를 받기
때문에 장기 보유 사용자에게 적합합니다.
단점
만기 전에 스테이킹을 종료(Locked Staking)하시면
스테이킹 한 기간 안에 받으신 이자가 취소되고 원래 자산만 남게 됩니다.
스테이킹은 자산을 잠그므로 시장이 변동할 때 적극적으로 사고 팔 수 없는 어려운 상황에 놓이게 됩니다.
바이낸스 런치패드

런치패드란
바이낸스의 런치패드라는 개념은 ido, ico와 유사하고, 주식으로 치면
공모주나 비상장주를 구매하는 것과 비슷합니다.
바이낸스 런치패드 공고가 뜨게 되면 바이낸스에서는 일주일 후 런치패드를
실시한다라는 말과 함께, 개인이 구매할 수 있는 하드캡이 1인당 얼마인지,
총 하드캡은 얼마인지를 공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런치패드를 참여하기 위해서 BMB를 보유해야 한다는 조건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개인당 100만원 정도의 런치패드 코인 참여을 하려면 100만원 상당의
BNB를 보유해야 하고, 이는 1시간마다 스냅숏이 찍혀 평균 보유량에 따라
런치패드 참여 청약 가능 금액을 결정합니다.
런치패드에 참여하게 되면 해당 코인을 구매하기 위한 지불 수단은 USDT나BTC, ETH 같은
코인들이 아닌 오로지 BNB(바이낸스 코인)으로 만 청약 참여가 가능합니다.
바이낸스 런치패드 참여 방법
먼저, 바이낸스 런치패드 일정을 체크해 주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바이낸스 홈페이지나 어플에 접속하게 되면, 상단 공지를 통해 런치패드 일정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보통 2~3주 전에 공지가 진행되기 때문에 준비할 시간은 충분합니다.
귀찮으시더라도 매일 같이 바이낸스 공지를 확인하시고 코인을 준비해야 하는데
여기서 코인은 BNB만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BNB를 준비해주셔야 합니다.
BNB 보유 여부가 참가 자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런치패드에 참가하실 분들은 항상 일정을 예의주시하시기 바라며,
일정을 보시고 까먹지 않게 다이어리에 잘 체크 해주시기 바랍니다.

런치패드 참가를 위해 바이낸스 상단의 메뉴탭에서 Lunchpad를 클릭해 주겠습니다.

현재 Hooked Protocol(후크 프로토콜) 런치패드가 프로젝트는 종료 되었지만,
런치패드 신규 공지가 나와있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Hooked Protocol(후크 프로토콜)가 준비중이라는 것을 가정하에
참여 방법을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위의 이미지를 보시면 하단에 잔여 시간을 볼 수 있습니다.
이 시간은 구독(런치패드 참가 종료)시점을 의미 하니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그럼, 좀 더 세부적인 절차를 설명 해드리겠습니다.
①보유한 BNB 코인을 예치 기간동안 홀딩하고, 스냅샷을 통해 수량을 확인
②지정된 시간에 구독 버튼을 누르면 BNB 일시 락업
③전체 배분 될 양과 참여자 수를 고려하여 분배 받을 코인 양을 계산
④코인 분배와 동시에 상장(매도 가능함)
개별 저장된 BNB 모든 참가자가 저장한 총 BNB 런치패드에서 판매할 총 ABC토큰.
예를 들어. 새로운 Launchpad 세션에서 총 100,000,000개의 ABC 토큰이 제공됩니다.
구독 기간 동안 사용자는 5,000BNB를 저장하시고 다른 사용자 9명은 총 100,000 BNB를
저장합니다. 이 사용자는 5,000 BNB / 105.000 BNB 또는 계산의 첫 번째 단계에서 제공된
모든 토큰의 4.76%(4.761,9005 ABC)의 비율을 받게 됩니다.

보통 거래소에 신규 상장 되는 코인을 매수할 경우 고점에 몰려 시체가 되는
경우가 많지만, 런치패드 같은 경우, 초기 상장가로 해당 토큰을 분배 받을 수 있으며,
분배 받은 코인을 원하는 시점에 매도를 할 수 있기 때문에 큰 수익을 낼 수 있는 것입니다.
다만, 거래량의 부족으로 매도가 어렵다는 것이 문제인데요.

위에 이미지는 바이낸스에서 이미 런치패드가 종료된 토큰입니다.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STEPN

코인명:GMT(그린 메타버스 토큰 Green Metaverse Token)
런치패드 하드캡:420만달러(약 50억8788만원)
개인 하드캡:1만5000달러(약 1817만원)
총 코인 공급량:60억개
런치패드에 할당된 총 코인 수량:GMT 4억2000개(총 코인 공급량의7%)
코인 공개 가격:1 GMT=0.01달러(약 12원)BNB 가격은 구독 이전에 결정됩니다.
코인 판매 방식: 런치패드 구독
지원 코인:BNB만 가능
런치패드 진행 시 한국 시간 기준으로 진행 된 주요 일정입니다.
1. 03/02(수) 9시~03/09(수) 9시:잔고스냅샷(매시간 랜덤 스냅샷+일평균 잔고산정)
2. 03/09(수) 15시~ 18시 :BNB청약
–>3시간 동안, 잔고 스냅샷에 기록된 BNB수량만큼 청약할 수 있습니다.
스냅샷: 개인이 소유한 코인 지갑이 얼마만큼의 코인을 소유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
주의사항:청약을 하면 일단 해당 BNB는 잠기게 됩니다.
3. 03/09(수) 18시~ 19시 : 계산 기간
4. 03/09(수) 19시 : 할당된 토큰수량 및 차감되고 남은 BNB가 지갑으로 환불.
-Alpine F1® 팀 팬 토큰

코인명:ALPINE(Alpine F1® Team Fan Token)
런치패드 하드캡:400만달러(약 48억원)
개인 하드캡:1만 달러(약 1197만원 1만개 상당의 ALPINE)
총 코인 공급량:4000만개
런치패드에 할당된 총 코인 수량:2천5만개
코인 공개 가격:1 ALPINE당 1달러(약1197원)
코인 판매 방식: 런치패드 구독
지원 코인:BNB만 가능
런치패드 진행 시 한국 시간 기준으로 진행 된 주요 일정입니다.
1. 02/16(수) 9시~02/21(월) 9시: 잔고 스냅샷(매시간 랜덤 스냅샷 + 일평균 잔고산정)
2. 02/21(월) 15시~18시 :BNB청약
–>3시간 동아느 잔고 스냅샷에 기록된 BNB수량만큼 청약할 수 있습니다.
스냅샷: 개인이 소유한 코인 지갑이 얼마만큼의 코인을 소유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
주의사항:청약을 하면 일단 해당 BNB는 잠기게 됩니다.
3. 02/21 (월) 18시~19시:계산 기간
4. 02/21 (월) 19시: 할당된 토큰수량 및 차감되고 남은 BNB가 지갑으로 환불.
-리그 오브 킹덤즈

코인명:LOKA(League of Kingdoms)
런치패드 하드캡:400만달러(약 48억원)
개인 하드캡:1만5천 달러(약 93.750 LOKA)
총 코인 공급량:5억개
런치패드에 할당된 총 코인 수량:2500만개 LOKA(총 코인 공급량의5%)
코인 공개 가격:1 LOKA 0.16달러
코인 판매 방식: 런치패드 구독
지원 코인:BNB만 가능
런치패드 진행 시 한국 시간 기준으로 진행 된 주요 일정입니다.
1. 01/12(수) 9시~01/20(목) 9시 :잔고스냅샷(매시간 랜덤스냅샷+일평균 잔고산정)
2. 01/20(목) 15시 ~ 18시 :BNB청약
–>3시간 동안, 잔고스냅샷에 기록된 BNB수량만큼 청약할 수 있습니다.
스냅샷: 개인이 소유한 코인 지갑이 얼마만큼의 코인을 소유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
주의사항:청약을 하면 일단 해당 BNB는 잠기게 됩니다.
3. 01/20(목) 18시 ~ 19시 : 계산 기간
4. 01/20(목) 19시 : 할당된 토큰수량 및 차감되고 남은 BNB가 지갑으로 환불.
런치패드를 위해 홀디한 BNB 중 일부가 상장코인으로 스왑이 되며, 런치패드가 종료된
이후에는 홀딩하고 있던 바이낸스 코인을 모두 매도하는 트레이더가 많기 때문에 BNB가격의
하락도 투자 손익에 고려해야 할 사항이라는 것입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일부 유저들의 경우 런치패드에 홀딩한 BNB수량만큼 바이낸스
선물거래 1배 숏(공매도)에 진입해 하락한 시세만큼을 보상받기도 하는데요.
자금의 여유가 있다면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최고의 대안이 될 수 있으니,
적극 활용해 보시는 건 어떨까요?
*공매도 : 코인 가격이 하락하는데 배팅 하는 행위
바이낸스 런치 풀 이란
바이낸스 런치 풀은 사용자가 BUSD, BNB 또는 기타 토큰을 스테이킹하여 새로운 토큰을
무료로 얻을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
획득하는 토큰 수는 풀에 스테이킹한 토큰 수에 비례합니다.
풀은 정해진 기간(보통 30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획득한 토큰은
1시간마다 계산되며, 언제든지 원하는 대로 수확할 수 있습니다.
또한, 파밍 7일 후 해당 토큰은 거래를 위해 바이낸스에서 직접 거래되며,
이는 바이낸스가 현재 최고 순위의 중앙 집중식 거래소 중 하나이기 때문에
런치풀 매수 하는 분들 에게 매우 유용합니다.
바이낸스 런치 풀 검토
장점
- 사용자는 Binance 사용자가 일반적으로 보유하는 자산인 BNB 또는 BUSD를 사용하여
무료 토큰을 얻을 수 있습니다.
지갑에 유휴 상태로 두는 대신 사용자는 추가 이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 바이낸스 런치풀에 상장된 프로젝트는 바이낸스 거래소에 상장될 것이 보장됩니다.
이는 해당 프로젝트뿐만 아니라 기본 토큰의 잠재력도 보여줍니다. - 보상은 시간당 제공되며 사용자는 즉시 거래할 수 있는 언제든지 보상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단점
- 사용자가 Binance Launchpool에 참여할 수 있는 기간은 일반적으로 30일입니다. 이것은 다소 짧은 기간이며 사용 가능한 프로젝트의 수는 그렇게 자주 릴리스되지 않기 때문에 중요하지 않습니다.
- 바이낸스 런치풀은 현재 대규모 사용자 기반으로 인기가 높기 때문에
농업 APY는 종종 매우 낮습니다.
바이낸스 런치 풀 참가 방법

먼저 런치 풀 참여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무엇보다도 일정을 먼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바이낸스 메인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공지를 수시로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런치 풀에 대한 전체 플랜이 나와있지 않기 때문에 그 때마다 홈페이지에서 확인을
해주시는게 좋습니다.

런치 풀 일정이 확인 되셨다면, 다음으로 참가 신청을 해야합니다.
바이낸스 좌측 상단에 있는 메뉴버튼을 클릭하시고
붉은색으로 체크한 Launchpad 를 클릭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스크롤을 조금 내리면 위 사진 처럼 현재 진행 중인 런치풀이 나옵니다.
BUSD와 BNB가 있는 걸 볼 수 있습니다.
저는 BUSD Pool에 Stake Now를 클릭해보겠습니다.
만약 BNB로 진행 하실 분은 BNB Pool 밑에 있는 Stake Now를 클릭하시기 바랍니다.

다시 스크롤을 조금 내리면 My Funds에 현재 스테이킹 중인 BUSD의 수량이 나옵니다.
지금은 스테이킹 전이라서 0이라고 나옵니다. 여기서 Stake 버튼을 클릭합니다.

예치할 수량을 입력하고 Stake 버튼을 클릭합니다. 저는 1,000 BUSD를 예치 해보겠습니다.

지금 바로 넣었기 때문에 보상이 ‘0’으로 나오지만 몇 시간 후에 접속하셔서 확인해보시면
보상으로 받는 Rewards가 업데이트 됩니다. 여기서 Claim 버튼을 누르면 보상을 수령하실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능하면 HFT 상장일 전에 보상을 받아서 당일 매도하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바이낸스 계산기 사용 방법
해외 거래소 바이낸스에서 선물거래를 이용하실 때 사용하면 좋은 기능이 있습니다.
해당 기능으로 손익, 목표가격, 청산가 등 등을 거래하기 전에 미리 계산해볼 수 있는데요.

계산기를 사용하기 위해서 Derivatives – USDS-M Futures로 들어오신 다음에

주문 창에 보면 오른쪽 상단 느낌표 아이콘 밑에 계산기 아이콘이 있습니다.
해당 아이콘을 눌러주시면 계산기 창이 열립니다.

계산기 화면에서 왼쪽 위에 보시면 거래 할 코인을 설정 할 수 있습니다.
코인마다 최대 레버리지가 다르기 때문에 정확한 계산을 위해
계산 할 코인으로 변경해주세요.
바이낸스 PNL 손익 계산기

첫 번째로 PNL 계산기로 쉽게 생각하면 손익 계산기입니다.
자신이 특정 가격에 진입을 하고, 특정 가격에서 종료를 하였을 때
자신이 보게 되는 수익 또는 손해가 얼마인지 알 수 있게 해주는 계산기입니다.
Entry Price에는 진입할 가격을 적어주시고 Exit Price에는 거래 후 종료 할 금액을 넣어주시고
마지막 Quantity에는 거래에 사용 할 수량을 적어주시고 계산을 눌러주시면
오른쪽에 값이 나오는데, Initial Margin는 초기 마진으로 투자금을 의미하고
PNL은 수익 ROE는 수익률을 뜻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레버리지를 2배를 한 뒤 진입가를 2,000달러에 진입을 하고
10%의 수익을 보는 2,200달러에서 종료하고 거래 금액은 100달러로 가정을 하겠습니다.
그리고 계산을 하게 되면 초기 마진은 50달러로 잡히게 되고
수익은 10달러 총 20%의 수익률을 달성하게 됩니다.
바이낸스 목표가격 계산기

두 번째로 Target Price 계산기로 한국어로 목표 가격 계산기입니다.
해당 계산기는 진입가와 원하는 수익률을 사용해서 말 그대로의 목표 가격을 알려줍니다.
계산이 되어 나온 목표 금액에 거래를 종료하게 되면 원하는 수익률이 나오게 되는 구조입니다.
Entry Price에는 앞서 살펴본 것처럼 진입가를 넣어주시고
ROE에는 해당 진입가에서 원하는 수익률을 적어주세요.
예를 들어서 2배의 레버리지로 2000달러를 진입가로 잡고 수익률 50%를 원한다고 해보겠습니다.
계산을 하게 되면 종료금액이 2500달러가 되어야 원하는 수익률을 볼 수 있는 걸 알 수 있습니다.
바이낸스 청산가 계산기

세 번째로 Liquidation Price 계산기로 청산가 계산기입니다.
청산가 계산기는 진입가와 수량 남은 잔고를 통해서 거래를 진입 하였을 때
강제 청산 금액이 얼마에 잡히는지 알 수 있게 해주며
청산 가격을 계산할 때 귀하의 오픈 포지션이 고려되는데,
오픈 포지션의 미실현 손익 및 유지 마진은 청산 가격에 영향을 미친다고 합니다.
청산가 계산기는 다른 계산기와 다르게 격리와 교차도 설정해주셔야하며
단방향 모드와 헤지모드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거래하시는 경우에는 전부 단방향 거래기 때문에,
헤지모드로 양방향 거래를 안하시는 분들은 설정하실 필요 없습니다.
그리고 나머지는 기존과 동일하게 설정해주시면 되는데,
진입가와 수량을 넣어주시고 마지막에 Balance가 있는데,
자동으로 금액이 들어가 있는데, 선물지갑에 남은 잔고를 뜻하는 것으로
남기실 만큼 설정해주시면 됩니다.
하지만 너무 적은 금액만 지갑에 남기는 것은
초기 증거금이 부족하다 나오며 계산이 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서 레버리지 2배에 격리 비트코인 진입 금액을 23,000달러로 하고
100달러만 구입하여 지갑에 50달러를 남길 경우로 계산하면
청산가로 10,542달러가 나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바이낸스 최대 가격 계산기

네 번째 Max Open 계산기입니다.
해당 계산기는 최대 가격 계산기라고 부르는데 말 그대로 자신이 보유한 금액으로
얼마만큼의 거래까지 들어 갈 수 있는지 계산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여기서 최대 오픈 계산기는 금액을 계산할 때 오픈 손실은 고려되지 않는다고 하며
계산 방법은 자신이 진입할 금액과 지갑의 잔고를 빈 칸에 넣어주시면 끝인데요.
Entry Price에는 진입가 Balance에는 지갑 잔고를 넣어주세요.
여기서 진입가를 넣으실 때 Last를 눌러주시면 직접 입력할 필요 없이
자동으로 현재 코인 금액이 들어갑니다.
바이낸스 진입 가격 계산기

마지막 다섯 번째로 Open Price로 쉽게 생각해서 평단가 계산기입니다.
해당 계산기는 자신이 들어간 포지션의 진입가를 계산해서
평균 진입가 금액을 알 수 있게 해줍니다.
자신이 들어간 코인 거래들의 Entry Price 진입가와 Quantity 수량을 입력해주시고,
+ Add를 눌러주셔서 포지션이 있는 만큼 추가하고 마찬가지로 입력하신 후
계산을 해주시면 됩니다.
그러면 자신이 평균적으로 얼마에 거래에 진입하였는지 결과 값을 알 수 있습니다.
바이낸스 선물거래 차트 설정 방법
다음으로 알려드릴 내용은 바이낸스 선물거래 차트 설정 방법입니다.
기본적인 차트 설정부터 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고
자주 사용하는 보조 지표를 설정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 바이낸스 오리지널과 트레이딩 뷰
가장 먼저 차트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오리지널 차트와 트레이딩 뷰가 있는데 보통 선물거래 하시는 분들은
많은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트레이딩 뷰를 많이 이용하고 있습니다.
제가 설명드릴 내용도 트레이딩 뷰에서 가능하기 때문에
저도 트레이딩 뷰로 설정하겠습니다.
2. 바이낸스 차트 테마 색 변경

오른쪽 상단에 톱니바퀴 일러스트를 눌러주시면
기본적인 설정들을 해주실 수 있는데,

가장 먼저 테마로 밝은 테마와 어두운 테마가 있습니다.
보기 편한 것으로 설정해주시고, 이번에 새롭게 생긴 Change Basis가 있는데
시간을 변경할 수 있는 기능으로 기준은 UTC(협정 세계시)입니다.
여기서 한국 시간과 UTC는 시간 차가 있는데 한국 시간이 UTC보다 9시간 빠릅니다.
필요하신 분들만 설정을 해주시고 기본적으로 24시간 전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그 다음으로 Style Settings이 있는데 기본적인 색 설정입니다.
정해진 색 중에서 전체적인 색감을 변경하실 수 있습니다.
원하는 색감으로 설정해주세요.

다음으로 Color Prefernce가 나오는데, 롱과 숏 색 설정입니다.
기본적으로 초록색이 롱 빨간색이 숏인데요.
해당 설정으로 빨간색이 롱 초록색이 숏으로 뒤바꿀 수 있습니다.
차트 음봉 색 변경의 경우에는 굳이 위의 기능들이 아닌 직접 설정이 가능한데,

바이낸스 차트에 있는 음봉을 마우스로 더블 클릭해주시고

Chart settings – Symbol을 보시면 음봉 설정이 나옵니다.
음봉 설정에서 색깔을 자유롭게 변경이 가능한데,
왼쪽이 롱의 색깔 오른쪽이 숏의 색깔입니다.
먼저 Body를 바꿔주시면 음봉 내부의 색이 바뀌며
Borders를 바꿔주시면 테두리색은 변경하실 수 있고
Wick를 바꿔주시면 캔들 봉의 꼬리색을 변경하실 수 있습니다.
여기서 색을 변경하실 때 Opacity(투명도)위에 +를 눌러주시면
자세한 색 변경이 가능하며 위에 색 코드를 입력하여
쉽게 원하는 색을 찾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대표적으로 국내거래소의 파란색과 빨간색의 캔들 봉색으로도 설정이 가능합니다.
3. 바이낸스 차트 레이아웃
그 다음으로 레이아웃으로 거래 창의 화면을 바꿀 수 있는데,
아래 이미지를 보고 비교해보시면서 편한걸로 설정해주시면 됩니다.
바이낸스 레이아웃 비교




그리고 바로 옆에 Multiple Charts가 있는데 눌러주시면
최대 6분할 된 차트 화면이 있는데 원하는 걸 선택하면
새 창으로 분할 된 화면이 나옵니다.
해당 기능으로 한 화면으로 다양한 차트를 보실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밑에 다양한 기능들이 켜져 있는데,
해당 기능들이 바이낸스 기본 기능들로 해당 기능이 꺼진다면,
바이낸스 화면에서 없어집니다.
기본적으로 필요한 것이 전부 켜져있기 때문에 사실 아래 부분은 만지실게 없습니다.
하지만 궁금하신 분들은 만져보셔도 상관 없습니다.
4. 바이낸스 보조 차트 설명
차트를 설정하기에 앞서 오늘 설명드릴 두가지 보조 차트에 대해서
짧게 기능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볼린저 밴드와 Rsi 기능입니다.

볼린저 밴드는 보조 지표 중 기본에 해당 되는 기능으로 주가의 과거 추세를
밴드로 도식화하여 보여줌으로써 주가 흐름을 예측하는데 사용합니다.
볼린저 밴드는 3개의 선이 있으며, 상한선, 하한선, 중심선으로 부르는데,
볼린저 밴드의 기본 설정인 (20, 2)로 되어 있다면
상한선 : 20일 이동평균선 + 표준편차x2 / 중심선 : 20일 이동평균선 /
하한선 : 20일 이동평균선 – 표준편차x2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다음으로 RSI로 한국어로 상대강도지수라고 하는데요.
RSI는 과매수 상태와 과매도 상태를 표시하는 지수입니다.
30구간과 70구간이 있는데, 숫자가 70 이상이면 과매수 상태로 해석하고
30이하로 내려가면 과매도 상태로 해석합니다.
즉 해당 기능으로 과매수 구간이라면 상단에서 물릴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매수보다는 매도가 적합하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이제 차트에 방금 설명한 보조 차트를 키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5. 바이낸스 보조 차트 설정하기

바이낸스 트레이딩 뷰에서 시간 설정 바로 옆에 아이콘이 있는데
해당 아이콘으로 보조 지표를 켜주실 수 있습니다.

바로 Technical Indicator 기능인데, 눌러주시면 새 창이 열리며
보조 지표를 켤 수 있는데, 먼저 Boll이라고 검색을 하면
3가지가 나오며 Bollinger Bands(볼린저 밴드)를 켜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바로 Rsi를 검색하셔서 Relative Strength Index 기능을 켜주시면 됩니다.
그러면 보조 지표가 차트에 켜져있는 걸 볼 수 있는데,
해당 기능들의 설정을 하는 방법은 차트 왼쪽에 켜진 기능들에
마우스를 가져가시면 설정과 X 버튼이 생깁니다.
X를 눌러주시면 차트 기능이 종료되고,
설정을 눌러주시면 해당 보조 지표를 설정 할 수 있습니다.
먼저 볼린저 밴드부터 설정을 해보겠습니다.
필요 없는 기능들은 꺼주셔야 깔끔하기 때문에 기본 기능들은 X를 눌러 종료시켜주세요.
그리고 볼린저 밴드의 설정을 눌러서 들어와주시면

input에서 아까 설명드린 이동평균선과 표준편차를 변경하실 수 있으며
기본 적으로 20일 이동평균선 표준편차x2로 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Length를 30으로 변경해주시면 30일 이동평균선이 되며
Mult를 3으로 변경해주시면 표준편차x3이 되는 것입니다.
꼭 바꿀 필요는 없기 때문에 필요하신 분들만 설정해주시고
Style에서 색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그 다음으로 Rsi를 설정해보겠습니다.
볼린저밴드 설정하신 것처럼 Rsi 설정으로 들어와주시고
input에 가시면 Rsi의 기간을 설정하실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Length가 14로 되어 있는데 14일을 기준으로 rsi를 표시해준다는 의미이며
필요에 따라 변경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Style로 가시면 색을 변경하실 수 있으며 UpperLimit / LowerLimit의 숫자를 변경하셔서
과매도와 과매수 구간을 바꾸실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과매수 70 과매도 30이 가장 좋다고 하기에
구간 변경은 추천드리지는 않습니다.
글을 마치기 전에 주의사항 말씀드리겠습니다.
보조 지표는 어디까지나 보조지표이기 때문에 틀릴 때도 있으며
차트 시간을 5분봉, 1시간봉 등 등으로 다른 시간으로 바꾸시면
시간 설정에 맞춰서 보조 지표도 변화하기 때문에
다양한 시간대로 보조 지표를 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여기까지 바이낸스 스테이킹 런치패드 계산기 차트 설정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차트 설정에 관해서는 다른 차트 설정도 많기 때문에 다른 글과 비교해보시면서
자신에게 맞는 설정을 하시면 됩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며 모두 성투하시길 바라겠습니다.